![]() |
|
||||||||||||||||
|
김종서 박사의 『한국사 교과서 바로잡기 1,000장면』은 한국의 역사교과서(국사, 역사, 한국사, 세계사, 역사부도, 윤리, 국어 등의 역사 교과서)와 세계 각국의 역사교과서의 한국분야가 왜ㆍ어떻게 잘못 되었는지, 어떻게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있는지, 역사적 사실은 무엇인지, 역사교과서가 어떻게 바로잡혀야 하는지 등을 밝혀낸 연구 내용을 일반 시민ㆍ학생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만든 책입니다. 2015년까지 1~3권을 우선 출판하고, 이어서 계속 4, 5, 6, 7……권을 출간할 예정입니다.
이 『김종서 박사의 한국사 교과서 바로잡기 1,000장면』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서 하루라도 빨리 한국과 세계의 한국사 교과서가 바로 잡힐 수 있도록 이 내용을 널리 알려주세요.
김종서 박사의 『한국사 교과서 바로잡기 1,000장면』1권 목차
1권 목 차
제1부 왜곡된 한국사 교과서 바로잡는 방법 / 23 제1장 연구 목적과 사료의 선택 / 24 제2장 중국 역사서의 한국 관련 기록을 믿을 수 있는가 / 29 제1절 진실을 남기기 위해 목숨을 던지는 역사가들이 남긴 기록 / 29 1. 역사 기록을 위해 목숨을 던진 제나라 태사 3형제 / 30 2. 사실을 남기기 위해 목숨을 건 진나라 태사 동호 / 34 3. 역사 기록과 보관에 대한 고대 중국의 제도 / 37 제2절 공자의 춘추필법과 중국의 이종족 역사 기술 방법 / 39 제3장 한국사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연구방법과 결과 / 42
제2부 한국과 세계의 왜곡된 한국사 교육 / 49 제1장 한국사를 말살ㆍ왜곡시킨 일본의 식민지교육 / 50 제1절 일본이 한국사를 말살ㆍ왜곡한 이유 / 50 제2절 조선총독부의 『조선사』 편찬 지침 / 53 제3절 조선총독부의 한국사 말살ㆍ왜곡에 참여한 주요 한국인 / 55 제4절 조선총독부가 말살ㆍ왜곡한 한국사 주요내용 / 57 제5절 일본 강점기의 왜곡된 한국사 교육 / 59 제2장 일본식민지교육에서 광복되지 못한 한국사 교육 / 64 제1절 한국사 교육이 일본식민지교육에서 광복되지 못한 이유 / 64 제2절 한국인의 뿌리, 건국 역사를 가르치지 않는 역사교육 / 68 제3절 자랑스러운 한국사를 가르치지 않는 역사교육 / 75 제4절 세계4대문명보다 앞선 한국문명을 가르치지 않는 역사교육 / 76 제5절 세계6대문화보다 앞선 한국문화를 가르치지 않는 역사교육 / 77 제6절 고대 한국사를 중국사로 왜곡시켜온 역사교육 / 79 제3장 중국의 한국사 침탈 근거를 제공해온 한국사 교육 / 83 제1절 수ㆍ당나라의 고구려 침략을 부른 왜곡된 역사 교육 / 86 제2절 중국이 고조선ㆍ고구려ㆍ발해를 중국사로 주장하는 근거 / 90 제3절 중국의 한반도 침략을 불러올 고조선과 한사군에 대한 왜곡된 역사교육 / 92 제4절 역사ㆍ문화적 열등감을 강요해온 고조선과 한사군에 대한 왜곡된 역사 지식 / 95 제5절 역사적 사실은 한국사 교육과 정반대 / 96 제4장 한국의 역사교과서 편찬 시스템 / 99 제5장 한국사 교과서 바로 잡는 방법 / 101 제6장 왜곡된 한국사 교육에 대한 정부의 책임 범위 / 104
요하문명이 고대 한국문화가 되기 위한 조건 / 108 흑룡강문화가 고대 한국문화가 되기 위한 조건 / 109
제3부 한국사 교과서 이렇게 바로잡아야 한다 (한국문명편) / 110 제1장 구석기ㆍ신석기ㆍ청동기문화에 대한 왜곡된 한국사 교육 / 111 제1절 고조선ㆍ부여ㆍ고구려와 그 조상들의 역사문화를 가르치지 않아온 한국사 교육 / 111 제2절 세계 최초의 문명인 한국문명을 부정해온 한국사 교육 / 120 제2장 세계 4대문명보다 앞선 흑룡강ㆍ요하문명이 한국문명이라는 증거 / 124 제1절 세계 4대문명보다 앞선 세계 최초의 문명을 한국문명으로 입증하려면 / 124 제2절 발해 북안ㆍ서요하유역이 고대 한국 영토인 증거 / 126 제3절 흑룡강 유역이 고대 한국 영토인 증거 / 129 제4절 요하문명이 한국문명에 속한 문화라는 증거 / 130 제5절 흑룡강문화가 한국문명에 속한 문화라는 증거 / 132 제3장 인류 최초의 문명 발생지 흑룡강과 그 문화 / 134 제1절 이동 사회에서 정착 사회로 / 134 제2절 흑룡강에 떠오른 인류 최초의 문명 / 136 제3절 세계 최초의 문명인 흑룡강ㆍ연해주 지역의 유물ㆍ유적 / 139 제4절 세계4대문명 보다 앞선 한국문명의 분포 범위 / 157 제4장 세계4대문명보다 앞선 한국문명의 특징 / 165 제1절 8215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한국 고유의 귀걸이문화 / 165 제2절 한국문명을 대표하는 빗살무늬토기문화 / 174 제3절 한국 고유의 매장문화 적석총 / 180 제4절 중국의 용문화와 전혀 다른 한국 고유의 용문화 / 183 1. 요하문화권의 용 유물ㆍ유적 / 184 1) 돌을 모아 만든 용 / 184 2) 용문양이 새겨진 채색토기 / 185 3) 옥으로 만든 용들 / 187 4) 조개로 만든 용 / 189 5) 요하유역 용문화의 특징 / 190 2. 한국 고유의 용문화 / 192 1) 수레를 끄는 북부여의 오룡 / 192 2) 인간세상과 천국을 왕래하는 신라의 마룡 / 192 3) 고구려의 마룡 / 196 4) 인간 세상과 천국을 왕래하는 계룡 / 198 5) 천국과 인간세상을 왕래하는 탈것으로서의 황룡 / 200 6) 고구려 벽화속의 청룡 / 201 7) 금으로 만든 고구려의 용문양 금 띠고리 / 202 3. 한국 고유의 용문화와 중국 용문화의 차이 / 204 제5절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문화 / 208 1. 한국 고유의 상투머리문화와 기원문화 / 208 2. 참선ㆍ명상의 기원은 한국문화 / 214 3. 세계 최초의 신전과 탑(피라미드) / 219 4. 신에게 자손의 잉태를 기원하는 문화 / 224 6절 한국 고유의 건축문화 / 225 1. 13,00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의 주택 움집 / 226 2. 7,000년의 전통을 가진 한국의 주택 뼈대집 / 228 3. 7,000년을 이어온 한국의 축성문화 / 230 제7절 비단의 원조는 중국이 아닌 한국 / 235 제8절 10,000년을 이어온 목걸이문화 / 240 제9절 8,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한국의 탈문화 / 244 제10절 신시와 고조선의 웅씨부족과 곰의 관계 / 247 제11절 중국 청동기문화보다 앞선 한국의 청동기문화 / 250 제12절 중국 철기문화보다 앞선 고조선의 철기문화 / 251
지도 목차 진秦시기(서기전221~서기전206년)의 (중)조선 영토를 청천강 남쪽으로 가르치는 중국의 역사교과서 / 3 한반도 대부분을 중국(전한) 영토로 가르치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 3 고구려와 낙랑ㆍ현도ㆍ요동군의 실제 위치도(서기 50년 전후) / 4 한국문명(흑룡강ㆍ요하문명)권도 / 5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구석기 유적도 / 112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신석기 유적도 / 112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구석기ㆍ신석기 유적도 / 113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청동기 유적도 / 113 중국사화과학원의 진ㆍ서한시기 부여ㆍ숙신 영역 / 114 중국사화과학원의 동한시기 부여ㆍ읍루ㆍ옥저 영역 / 115 기존 역사교육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 역사교과서에 반드시 표시 했 어야 할 최소한의 구석기ㆍ신석기ㆍ청동기문화권 범위도 / 117 실제 한국의 구석기ㆍ신석기ㆍ청동기문화권 범위도 / 119 빗살무늬토기문화권도 / 158 흥륭와문화 유적지 분포도 / 159 홍산문화 유적지 분포도 / 161 비파형동검문화 유적지 분포도 / 162 명도전 유적지 분포도 / 163
사진ㆍ그림 목차 오시뽀프까문화(13,000~10,000년 전)의 토기 조각 / 140 오시뽀프까문화의 옥으로 만든 장신구 / 140 오시뽀프까문화의 석기 / 141 마린스까야문화(9,000~7,000년 전)의 토기 및 석기 / 141 마린스까야문화기에 나무를 가공하던 돌자귀 / 143 마린스까야문화기의 돌칼날과 돌칼날을 만드는 재료인 몸돌 / 144 말르이쉐보문화(8,000년 전 이전)기의 집터 / 144 흑룡강유역의 움집과 같은 종류의 서울 암사동 선사유적지의 움집 / 145 말르이쉐보문화의 흙으로 만든 곰 / 145 말르이쉐보문화의 토기 / 146 말르이쉐보문화의 토기 / 146 말르이쉐보문화의 신상 / 147 말르이쉐보문화기(8,000년 전 이전)의 섬유ㆍ의류 수준을 보여주는 토기 / 148 루드나야문화(7,700~4,300년 전)의 토기 조각 / 149 자이싸노프문화(5,370~3,500년 전)의 토기 / 150 자이싸노프문화의 토기 / 150 꼰돈문화(5,000~4,000년 전)의 토기 / 151 꼰돈문화의 석기 / 152 보즈네세노프까문화(5,000~4,000년 전)의 옥기와 신상 / 152 보즈네세노프까문화의 신상 문양 토기 / 153 3,000년 전 이전에 철기시대를 연 토기와 철기 / 155 흥륭와문화(서기전6200~서기전5400)의 옥귀걸이 / 167 흥륭와문화의 옥귀걸이 / 168 부신사해문화와 조보구문화의 옥귀걸이 / 168 홍산문화(서기전4710~서기전2920)의 옥귀걸이 / 169 하가점하층문화(서기전2000~서기전1500)의 옥귀걸이와 금귀걸이 / 169 강원도 고성군 문암리 옥귀걸이 / 170 여수 안도패통 납석귀걸이 / 170 제주 고산리 옥귀걸이 / 170 고구려 금귀걸이 / 172 백제의 금귀걸이 / 172 신라의 금귀걸이 / 173 가야의 금귀걸이 / 173 흥륭와문화(서기전6200~서기전5400)의 빗살무늬토기 1 / 176 흥륭와문화의 빗살무늬토기 2 / 176 흥륭와문화의 빗살무늬토기 3 / 177 흥륭와문화의 빗살무늬토기 4 / 177 흥륭와문화의 토기 5 / 178 부신사해문화(서기전5600~?)의 빗살무늬 토기 / 178 조보구문화(서기전5200~서기전4200)의 빗살무늬토기 / 178 서기전 45000년 전후의 후와문화와 암사동문화 토기 / 179 한반도의 빗살무늬토기 / 179 고구려의 적석총(집안) / 180 백제의 적석총(서울 석촌동) / 181 홍산문화(서기전4710~서기전2920)의 적석총(요녕성) / 182 부신사해문화(서기전5600~?)의 돌을 모아 만든 용 / 184 부신사해문화 유지의 돌을 모아 만든 용 발굴 현장 / 184 부신사해문화(서기전5600~?)유지의 돌을 모아 만든 용 / 185 용이 새겨진 조보구문화(서기전5200~서기전4470) 채색토기 / 186 홍산문화(서기전4710~서기전2920)의 옥룡(적봉 옹우특기) / 187 홍산문화의 무덤속의 옥룡(우하량)과 황옥룡 / 187 홍산문화의 갈옥룡과 백옥룡 / 188 홍산문화의 녹옥룡 / 188 조개 껍질로 만든 무덤속의 용 / 189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 194 천마총의 금동천마상 / 196 평남 덕흥리 분벽화의 천마지상 / 197 강서대묘의 청룡 모사도 / 202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 203 홍산문화의 기도하는 인물상 / 209 홍산문화의 신상 / 210 홍산문화의 의자에 앉아 있는 신상 / 211 우하량 신전의 신상 / 211 상투머리를 한 홍산문화기의 도자기 신상 / 212 홍산문화기의 동산취 유적 / 215 홍산문화기 동산취 유적의 신상 / 216 홍산문화기 우하량 유적지의 와상 / 217 홍산문화기의 우하량 신전 / 220 이집트 피라미드보다 천년 이상 앞선 홍산문화기의 피라미드 일부분 / 221 이집트 피라미드보다 천년 이상 앞선 홍산문화기의 피라미드 전경 / 222 홍산문화기 동산취 유적의 임신한 부인상 / 224 흥륭와문화(서기전6200~서기전5400)의 마을 유적지 / 226 (신시의 수도로 추정되는) 홍산 취락유지 복원도 / 231 홍산 전경 / 231 홍산문화의 석성 유적지 / 232 홍산문화의 석성 유적지 복원도 / 233 적봉 삼좌점 하가점하층문화 석성 유지와 석성의 치 / 234 홍산문화의 옥누에 / 236 살아 있는 누에 / 237 누에고치 / 237 홍산문화기의 옥구슬목걸이 / 241 홍산문화기의 옥구슬과 대롱옥 / 241 홍산문화의 옥팔찌와 소하연문화의 조개구슬목걸이 / 242 한반도의 대롱옥목걸이 1 / 242 한반도의 대롱옥목걸이 2 / 243 한반도의 옥구슬목걸이 / 243 흥륭와문화의 탈 / 245 부산 동삼동 패총의 조개탈 / 245 하회탈 / 246 강원 양양군 오산리문화의 곰토우 / 249
김종서 박사의 『한국사 교과서 바로잡기 1,000장면』2권 목차
2권 목 차
제4부 한국사 교과서 이렇게 바로잡아야 한다 (한국 최초의 국가 신시편) / 23 제1장 한국 최초의 국가를 고조선으로 왜곡해 온 한국사 교과서 바로잡기 / 24 제1절 고조선 국호를 왜곡해 온 한국사 교과서 / 24 제2절 고조선을 한국 최초의 국가로 왜곡해 온 한국사 교과서 / 29 제3절 한국 최초의 국가에 대한 『삼국유사』의 기록 / 33 제4절 동국통감의 고조선 건국 기록 / 37 제5절 한국 최초의 국가인 신시 건국과 신시의 제도와 문화 / 39 제2장 홍익인간을 고조선 건국이념으로 왜곡해 온 한국사 교과서 바로잡기 / 45 제1절 단군의 고조선 건국이념으로 왜곡된 홍익인간 / 45 제2절 홍익인간은 환웅천왕의 신시 건국이념 / 53 제3장 고조선을 하늘의 뜻으로 세운 국가로 조작한 한국사 교과서 바로잡기 / 58 제4장 한국인의 첫 조상 하느님(하나님)에 얽힌 이야기 / 65 제5장 신석기문화를 왜곡해 온 한국사 교과서 바로잡기 / 75 제1절 마을, 씨족, 부족에 대한 한국사 교과서 내용 / 76 제2절 마을, 씨족, 부족의 역사를 왜곡해 온 한국사 교과서 / 81 제3절 신석기시대를 공동생산, 공평한 분배사회로 왜곡해 온 한국사 교과서 / 86 제4절 한국의 신석기문화를 한반도 안으로 축소ㆍ왜곡해 온 한국사 교과서 / 88 1. 신석기문화에 대한 한국사 교과서 내용 / 88 2. 한반도 안의 구석기 신석기 유물ㆍ유적만 가르쳐 온 한국의 한국사교육 / 96 3. 신석기시대 한국사의 진실 / 98 4. 그 밖의 기존 한국사 교과서의 역사 왜곡 내용 / 104 1) 신석기문화의 시원을 중동으로 왜곡 / 104 2) 한국 농업의 시작을 중국 영향으로 왜곡 / 105 3) 신석기시대의 한반도 옥기문화조차 부정 / 107 4) 활의 사용 목적과 발명 / 108 5) 고기잡이와 사냥 방법 / 110 6) 농경지 위치 및 규모 / 112 7) 나무로 만든 농기구 사용을 추정하는 역사 교육 / 113 제5절 선사시대와 역사시대에 대한 잘못된 한국사교육 / 114 제6장 한국과 세상 최초의 국가 신시의 제도와 문화 / 117 제1절 인간세상 최초의 전쟁 / 117 제2절 세상 최초의 국가인 신시의 건국 이유 / 125 제3절 인간세상 구원 이념 홍익인간 / 129 제4절 세상을 구원하기 위한 신시의 국가제도 / 131 제5절 신시의 국가 형태 / 152 제7장 한국 고유 종교를 샤머니즘, 토테미즘으로 왜곡한 한국사 교과서 바로잡기 / 167 제1절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여 온 한국사 교과서 내용 / 167 제2절 동물을 신으로 숭배하는 미개인으로 왜곡되어 온 한국인 조상들 / 172 제3절 샤머니즘으로 왜곡된 한국인의 신앙체계 / 176 제4절 7000년전 이전에 발생한 세계 최초의 종교인 한국의 고유종교 / 177
제5부 한국사 교과서 이렇게 바로잡아야 한다 (고조선편) / 181 제1장 단군왕검의 고조선 역사를 부정해 온 한국사교육 / 182 제1절 단군왕검의 고조선 역사를 부정해 온 교과서 내용 / 182 제2절 단군왕검의 고조선 역사를 부정해 온 한국사교육 / 188 제3절 단군왕검의 고조선 역사를 만들어진 신화로 왜곡해 온 한국사교육 / 191 제2장 단군과 단군왕검에 대한 왜곡된 한국사교육 / 197 제1절 단군과 단군왕검에 대해 왜곡해 온 교과서 내용 / 197 제2절 단군과 단군왕검에 대한 역사의 진실 / 204 1. 단군은 종교지도자와 정치지도자를 겸한 제왕의 칭호, 왕검은 개인의 이름 / 205 2. 삼국유사의 기록을 왜곡해 온 한국사교육 / 213 3. 동국통감과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을 왜곡한 한국사교육 / 216 4 단군신화, 단군의 건국으로 왜곡된 한국사교육 / 219 5. 잘못된 표현 단군할아버지 / 220 제3장 왕검단군의 고조선 건국 연도와 존속기간 / 223 제1절 고조선 건국 연도를 부정해 온 한국사교육 / 223 제2절 고조선 건국 연도와 존속기간의 진실 / 225 1. 요임금의 당나라와 동시에 건국된 왕검단군의 고조선 / 225 2. 요임금의 건국 연대에 대한 학설 / 231 1) 갑진년 건국설 / 231 2) 무진년 건국설 / 234 3) 갑자년 건국설 / 236 3. 요임금의 재위 기간과 당나라 존속기간 / 238 4. 왕검단군의 고조선 건국 연도의 진실 / 244 1) 갑진년 건국설에 따른 고조선 건국 연도는 서기전 2417년 / 244 2) 무진년 건국설에 따른 고조선 건국 연도 / 246 3) 갑자년 건국설에 따른 고조선 건국 연도 / 246 4) 고조선 건국 연도는 서기전 2417년 / 247 5. 왜곡된 왕검단군의 고조선 건국 연도 / 248 6. 왕검단군의 재위 기간과 고조선 존속기간 / 252 1) 왕검단군의 재위 기간과 고조선의 존속기간 / 252 2) 축소된 고조선의 존속기간 / 254 제3절 고조선의 건국과 실존을 증명하는 고대 중국기록 / 258
지도 목차 한국문명(흑룡강ㆍ요하문명)권도 / 99
사진ㆍ그림 목차 흥륭와문화(서기전6200~서기전5400)의 마을 유적지 / 119 신시의 수도로 추정되는 홍산 유적지 복원도 / 122 하늘에서 내려다 본 홍산(구글어스) / 123 홍산문화(서기전4710~서기전2920)의 노호산석성유지 / 124 홍산문화(서기전4710~서기전2920)의 대해석성유지 복원도 / 125 왕검단군 영정 / 212 |